질환백과
- 정의
- 아메바성 간농양은 장 원충류인 이질 아메바(Entamoeba histolytica)에 감염되어 간에 고름집(농양)이 형성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 원인
- 아메바성 간농양은 이질 아메바에 감염된 환자의 대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그 살아 있는 포낭을 섭취함으로써 감염됩니다. 이 기생충이 장에서 장염(이질)을 일으킨 후, 혈액을 통해 간까지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키고 고름집을 형성합니다. - 과거 위생 환경이 좋지 않았던 시절에는 아메바성 이질과 아메바성 간농양이 종종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멕시코, 남아메리카 일부 등 위생 환경이 좋지 못한 개발도상국에서 살다가 왔거나 이곳으로 여행한 젊은 사람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 증상
- 이질 아메바에 감염되면 발열, 오한, 무기력, 메스꺼움, 구토, 식욕 부진, 오른쪽 상복부의 통증, 간 부위를 누르면 느껴지는 압통이 발생합니다. 농양으로 인한 간종대가 나타나지만, 백혈구 증가증과 황달은 드물게 나타납니다. 일부 환자에는 가슴에 통증을 느끼거나 기침, 호흡 곤란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설사가 있는 경우는 20% 정도입니다. 병이 매우 진행되면 복강에서 파열되어 응급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진단
- 간농양은 초음파나 CT 등의 영상학적 검사와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간농양이 확인되고 아메바성으로 의심되면 대변에서 원인 아메바 검사를 시행합니다. 그러나 대변 검사에서 아메바를 발견할 확률은 15% 정도밖에 안 됩니다. 따라서, 주로 혈액에서 항아메바 항체 검사를 시행합니다. 혈액 검사는 95% 이상 확진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발병 1주 동안은 음성인 경우가 많으며, 검사 결과가 나오는 데 24~48시간이 걸리므로, 경험적인 치료를 시작하고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발열이 있으면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합니다. 
- 치료
- 아메바성 간농양의 일차 치료는 항생제 치료입니다. 간농양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위치가 심장에 가까운 경우 드물게 배농하기도 합니다. 아메바성 간농양은 대부분 치료 3일 안에 호전되기 시작합니다. 치료 3~5일까지 기다린 후 호전되지 않으면 배농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매우 중증인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경과
- 아메바성 간농양은 흔히 폐 및 늑막의 침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간농양이 복강이나 흉강에서 파열되면 복막염, 늑막염을 일으켜 패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횡격막하 농양이나 심낭염 등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아메바성 간농양은 포낭에 감염된 물과 음식을 통해서 전파됩니다. 따라서 가급적 깨끗한 물을 마시고, 과일의 껍질을 벗겨서 먹거나 채소를 잘 씻어 먹는 등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특히 아메바성 질환 위험 지역을 여행할 때에는 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