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핑 증후군(Dumping syndrome)
덤핑 증후군은 다량의 위 내용물이 소장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덤핑(dumping)이란 '한꺼번에 쏟아버린다'는 의미입니다. 대부분 부분적, 전체적 위 절제술 후 섭취한 음식이 정상적인 소화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급격히 소장으로 유입됨으로써 발생합니다. 위 절제술 후 짧게는 6개월, 길게는 1~3년간 이러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위 절제술을 한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덤핑 증후군이 나타납니다. 아무런 증세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1~2% 정도의 환자에게는 심각한 상태로 나타납니다.
덤핑 증후군의 증상은 두 가지 형태입니다. 식후 수분~45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덤핑 증후군 초기 증세라고 합니다. 식후 2~3시간 정도 지난 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덤핑 증후군 후기 증세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후기 증세를 보입니다.
덤핑 증후군의 원인은 유문이 절제되거나 그 기능이 상실된 것입니다. 정상적으로는 위와 십이지장 사이에 있는 유문에 의해 소화된 음식물이 조금씩 십이지장으로 보내지면서 소화가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부분적, 전체적 위 절제 수술을 받아 유문이 절제되거나, 위나 식도를 공장에 연결하는 수술을 하여 유문의 조절 기능이 상실되면, 위의 음식물이 소장으로 빨리 내려갑니다. 소장으로 내려간, 삼투압이 높은 음식물에 의해 소장 내로 수분이 몰립니다. 혈관 내 수분량이 부족해지고, 소장의 팽창에 따라 물질이 분비되며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를 생리적, 화학적 몸 조절의 동요라고 합니다. 특히 당질을 많이 섭취하거나 신경질적이고 예민한 사람에게서 잘 나타납니다.
덤핑 증후군은 식후 30분~1시간 사이에 나타나는 조기 덤핑 증후군과 식후 90분~3시간 사이에 나타나는 후기 덤핑 증후군으로 구분됩니다. 식후 5~60분이 지난 후에는 주로 복부 팽만, 복통, 오심, 구토, 빈맥, 어지러움, 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어지러우며, 땀이 많이 나고, 눕거나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혈압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식후 90분~3시간이 지난 후에는 식은땀, 떨림, 빙빙 도는 느낌, 빈맥, 정신 혼미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증상은 탄수화물이 많은 식사가 소장으로 들어가서 갑자기 혈당이 높아지고 인슐린 분비가 많아지면서 나타나는 저혈당 증상입니다.
덤핑 증후군은 주로 부분적, 전체적 위 절제술 후 진행하는 면담에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살펴보고 식후 혈당 수치를 측정하여 진단합니다.
덤핑 증후군의 중요한 치료법은 식이요법 및 생활요법입니다.
① 식이요법
식이요법의 원칙은 한 번에 섭취하는 음식물의 양을 줄이고, 고단백, 고지방, 저탄수화물, 저수분 식사를 자주 먹는 것입니다.
위 절제술 후에는 위의 저장 능력이 감소하여 음식이 장으로 빨리 들어갑니다. 따라서 매일 소량의 음식을 5~6번에 나누어 꼭꼭 씹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단백질은 체조직을 구성하고 위점막을 강화하는 영양분이므로, 양질의 단백질 공급이 필요합니다.
위 절제 수술 후에는 유당이 포함된 우유와 유제품을 피해야 합니다. 위장 내에 유당을 분해하고 소화하는 효소가 부족하여, 이러한 식품을 먹으면 설사, 복통 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방은 위를 통과하는 시간이 비교적 길고, 소량으로 고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지방식을 시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튀김, 볶은 음식과 같이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위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차가운 음식은 위의 운동을 증가시키므로 따뜻하게 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② 생활요법
식사 후 위에서 소장으로의 배출 속도를 늦추는 방법으로는 식사 시 횡와위(옆으로 누운 자세)나 반 횡와위를 취하는 것, 식사 후에 누워 있는 것 등이 있습니다. 식전 1시간 정도, 식사 시 혹은 식후 2시간 정도 수분을 섭취하지 않는 방법도 있습니다.
덤핑 증후군으로 인해 저혈당, 복부 통증, 경련이 발생할 경우, 진정제나 항경련제 복용포도당 주사, 진정제, 자율신경 차단제와 같은 약물을 투약하여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보통 식이 요법, 약물 요법을 이용해 증상을 잘 조절하면, 1~2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집니다. 가장 무서운 합병증은 저혈당 쇼크이기 때문에, 경과를 관찰하면서 저혈당 쇼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