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암(Bladder cancer)
동의어 : Malignant neoplasm of bladder,방광 내 신생물,방광선암
방광암은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인 방광에 악성 세포가 생긴 질환을 의미합니다. 방광암은 방광 내부의 상피 세포에서 처음 발생합니다. 60~70대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남성의 발병 위험도가 여성보다 3~4배가량 높습니다.
방광암에는 세 종류가 있고, 각기 다른 세포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 방광암의 90% 정도는 이행세포암에 해당하고, 6~8% 정도가 편평세포암, 2% 정도가 선암에 해당합니다.
방광암의 원인은 일부만 알려져 있습니다. 방광암 중 하나인 이행세포암의 원인으로는 담배 연기, 주변의 화학물질과 같은 발암물질(암을 유발하는 물질)이 있습니다. 방광암은 특정 산업 화학물질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노출은 최근 작업장 안정 법률 덕분에 매우 많이 감소하였습니다.
방광암 환자 중 흡연 경험이 있는 사람은 절반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흡연자들은 일반적으로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2~4배 더 많이 방광암에 걸립니다. 이외에 각종 화학 약품에 대한 직업적인 노출, 커피, 진통제, 감염, 결석, 인공 감미료, 방사선 조사, 항암제 등이 원인이 됩니다.
방광암의 주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변의 혈액(혈뇨)입니다. 방광암 환자의 80~90% 정도에서는 이 증상이 첫 번째로 나타납니다. 소변이 명백하게 붉은색으로 보일 수 있고, 소변이 녹색으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둘째, 배뇨 시 발생하는 통증입니다. 흔히 배뇨통이라고 합니다.
셋째, 빈번한 배뇨입니다. 정상보다 더 자주 소변을 보고 싶어지거나, 절박뇨(갑자기 소변이 마려운 느낌)와 같은 증상이 동반됩니다.
넷째, 방광암에 의해 요관 폐색(소변 길이 막힘)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측복부 통증, 하지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더 진행된 경우 골반에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합니다.
혈뇨 증상으로 인해 내원한 환자에게 요세포 검사, 방광경 검사를 시행하여 방광암을 확진합니다. 이후 병의 진행 단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방사선 검사를 시행합니다.
방광경 검사는 의사가 요도(소변이 나오는 입구)를 통해서 방광 내시경을 삽입하여 방광 내부의 표면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방광경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 의사는 종양의 조직 검사(현미경으로 암세포를 관찰하기 위해 작은 조직의 조각을 잘라내는 것)를 하거나, 가능하다면 종양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방광경 검사는 보통 두 번에 걸쳐 시행합니다. 첫 번째는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암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두 번째는 첫 번째 시술에서 발견된 암을 제거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암의 전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요관과 신우를 검사합니다. 신우는 신장에서 소변이 방광으로 배액되기 전에 모이는 기관입니다.
이 검사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경정맥 신우 조영술(IVP)입니다. 조영제를 혈액에 주입하고 이것이 신장을 통해 걸러져서 방광에 배액되는 동안 신장과 요관에 대한 X-ray 검사를 시행합니다.
둘째는 전산화 단층촬영(CT)입니다. 전문의가 요관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전산화된 3차원적인 영상을 만듭니다.
셋째는 역행성 신우 조영술입니다. 이 검사 방법은 신우 조영술(IVP)과 유사하지만, 비뇨기과 전문의가 방광경 검사를 하는 동안에 시행합니다.
종양 등급은 암의 성장 속도와 전파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첫째는 종양이 방광 표면에만 국한되었는지, 아니면 방광 근육, 방광 주위의 조직 또는 주변 골반 장기를 침범했는지입니다.
둘째는 종양이 주변의 림프절까지 전이되었는지입니다.
셋째는 종양이 원격 신체 부위로 전이되었는지입니다.
이러한 요인에 따라 병기를 평가하면, 이에 따라 치료 종류를 다르게 합니다.
표재성 방광암의 치료는 경요도 절제술이 기본입니다. 절제술 후 조직학적 징후, 종양의 개수, 크기, 재발 기간 등을 고려하여 방광 내 BCG, 항암제 등을 주입하는 치료를 고려합니다. 필요하다면 표재성 방광암의 경우에도 방광 적출술 등의 침습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방광암은 흔하게 재발하므로 지속적인 추적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침윤성 방광암에 대해서는 방광 적출술을 비롯한 침습적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광 적출술은 수술 자체의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으므로 환자의 건강 상태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시행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방광 적출술의 시행 전후로 항암 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방광암은 표재성 방광암, 침윤성 방광암으로 분류됩니다. 표재성 방광암은 전체 방광암의 70~80% 정도를 차지하며, 경요도 절제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표재성 방광암의 재발률은 60~70%에 이르며, 20~30% 정도는 더 나쁜 종양으로 진행할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침윤성 방광암, 표재성 방광암이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경요도 절제술만으로는 치료할 수 없습니다. 개복 수술을 통한 침습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