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신경(Cranial nerve)
말초신경계 중 하나로 뇌로 이어져있는 좌우 12쌍의 말초신경을 말합니다.
위치뇌의 아랫부분에서 나와 척수를 거치지 않고 온몸으로 퍼져 있습니다. 예외로 미주신경이 뇌의 연수에서 나와 흉곽과 복강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뇌에서 기시되어 말초신경계로 이어지고 있으며, 각각의 뇌신경은 섬유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나 후각신경만이 가늘게 퍼진 신경섬유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뇌신경은 혼합신경이으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모두 포함하는데, 예외적으로 시신경, 후각신경, 전정와우신경은 감각신경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뇌신경은 주로 머리와 목을 지배하며, 미주신경만 흉강과 복강에 뻗어 목 아랫부분을 관장합니다.
제Ⅰ 뇌신경: 후각신경이라고 하며, 비강에서 발생하는 후각을 대뇌로 전달하는 감각신경입니다.
제Ⅱ 뇌신경: 시각신경이라고 하며, 망막에서 발생하는 시각을 대뇌로 전달하는 감각신경입니다.
제Ⅲ 뇌신경: 동안신경이라고 하며, 안구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입니다. 안검근육과 외안근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윗눈썹을 움직이고 눈을 위와 옆으로 움직이게 하며, 홍채를 조절하여 동공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제Ⅳ 뇌신경: 활차신경이라고 하며, 안구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입니다. 외안근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눈을 아래와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제Ⅴ 뇌신경: 삼차신경이라고 하며, 음식물을 씹는 저작기능을 하는 운동신경과 얼굴, 눈, 구강의 감각을 대뇌로 전달하는 감각신경이 함께 작용합니다. 이는 삼차신경통이라 불리는 안면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부위입니다.
제Ⅵ 뇌신경: 외전신경이라고 하며, 안구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입니다. 외직근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눈이 바깥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도록 합니다.
제Ⅶ 뇌신경: 안면신경이라고 하며, 혀의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미각을 대뇌로 전달하는 감각신경과 얼굴 표정 변화, 침과 눈물 등 타액을 분비하는 운동신경이 함께 작용합니다.
제Ⅷ 뇌신경: 청신경이라고 하며, 청각에 관여하는 와우신경과 평형감각에 관여하는 전정신경이 작용하는 감각신경입니다.
제Ⅸ 뇌신경: 설인신경이라고 하며, 혀의 뒷부분에서 발생하는 미각, 인두의 감각을 전달하는 감각신경과 인두의 삼킴 작용, 침 분비를 조절하는 운동작용이 함께 작용합니다.
제Ⅹ 뇌신경: 미주신경이라고 하며, 인두근, 후두, 외이의 감각에 관여하는 감각신경과 삼킴, 소화 작용 등의 내장운동, 심장 및 혈관운동, 인후두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운동작용이 함께 작용합니다.
제XI 뇌신경: 부신경이라고 하며, 인두근, 후두근, 흉쇄유돌근, 승모근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입니다.
제XII 뇌신경: 설하신경이라고 하며, 혀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운동신경입니다.
뇌신경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에는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 뇌졸중, 간질, 정신분열 등이 있습니다. 뇌졸중의 경우 발병 후 6개월까지 회복 가능하므로 내과적으로 안정화되면 바로 재활치료를 진행하여 신경학적 회복을 통해 근력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 재활 치료는 기능적 회복을 극대화시킬 수 있습니다.
임신 중에는 엽산 섭취가 필요한데, 엽산이 아기의 뇌신경 발달과 신경관의 형성에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아기의 신경관 형성은 임신 7주 이후부터 시작되므로 임신을 확인한 후 천천히 복용해도 늦지 않으며, 엽산을 충분히 섭취하면 신경관 폐쇄 장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식사로도 보충할 수 있는데, 엽산이 풍부한 음식은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미역, 김 등에 풍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