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포(Alveolus)
폐의 호흡세기관지와 연결된 작은 주머니 모양으로 많은 수의 모세혈관과 접하여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가스교환을 하는 부분입니다.
위치흉강 안 갈비뼈 안에 있으며, 양측 폐의 세기관지에서 뻗어져 나오는 폐포관의 끝에 위치합니다.
폐포는 한 층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속이 비어있는 작은 주머니 모양으로 합쳐져 포도송이 모양을 하고 있으며, 기관지의 끝인 호흡세기관지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폐포의 겉부분을 한 겹의 모세혈관이 싸고 있는데 폐포벽과 모세혈관이 접하는 표면적은 매우 넓습니다. 넓은 표면적과 얇은 막의 구성은 빠른 시간 안에 다량의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이동하기에 적합한 형태입니다. 각각의 호흡세기관지의 끝에는 폐포가 50~100개가 연결되어 있어 총 3억~5억개의 폐포가 가스교환을 합니다.
폐포는 2가지의 종류로 나뉘는데 납작한 상피세포인 1형 폐포세포는 공기와 접하는 벽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폐포벽에는 폐포 간의 기체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폐포구멍이 존재합니다. 폐포 사이에 2형 폐포세포가 있어 표면활성제를 생성하는데 이는 표면 장력을 감소시켜 폐가 보다 쉽게 팽창하고 수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폐포의 상피세포와 한 겹의 내피로 이루어진 모세혈관이 밀착되어 있어 얇은 두개의 세포성 막을 두고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통과하며 가스교환을 진행합니다. 폐 속으로 전도되어 들어온 산소가 폐포에서 모세혈관을 통해 온몸으로 나가고, 온몸에서 만들어진 이산화탄소는 다시 모세혈관에서 폐포 속으로 들어와 호흡을 통해 배출됩니다. 폐포에서의 가스교환은 기체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확산의 원리로 이루어집니다. 폐포에는 폐포대식세포가 우리 몸의 여러가지 원인의 작용으로 가스교환이 방해를 받는데, 탄가루, 규소, 석면, 담배의 니코틴 등이 기도에 침착되고 폐포벽에 달라붙어 가스의 교환을 저해합니다.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표면활성제의 생성이 되지 않거나 부족하여 폐포가 펴지지 않아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폐표면활성제는 임신 34주가 되어야 충분하게 분비되어 역할을 하는데 미숙아의 경우 표면활성제의 분비가 충분하지 않아 폐에서의 가스교환이 어렵고 호흡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요새는 분만 전 산모에게 스테로이드를 투약하기도 하고 인공적인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인한 사망률이 크게 낮아졌습니다.
폐기종은 폐포벽이 손상받아 폐포가 터지고 늘어난 상태로 숨을 내쉬거나 들이마실 때 조차도 숨이 잘 쉬어지지 않고 힘이 든 상태를 폐기종이라 합니다. 폐기종의 가장 큰 원인은 흡연인데, 담배 연기 속에는 약 400여가지 이상의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이 연기를 흡입하게 되면 기관지 점막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고 연기의 독성으로 폐포를 손상시켜 터지게 합니다. 터진 폐포벽은 쉽게 재생되지 않으므로 미리 금연하여 폐포 손상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